본문 바로가기
3DsMax/Tips

3ds max의 자잘한 팁들 -02

by biped 2012. 5. 10.

자잘한 팁들 시리즈는 하단에 있는  태그: tips 를 통해 쉽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




1.맥스 바로가기 아이콘 속성에서 옵션을 -h (공백을 한칸 띄우고 ) 붙이면 맥스가 실행되기 전에 드라이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드라이버를 바꾸어야 할 경우 맥스안에 들어가서  Customize>Preferences에서 바꾸고 재실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습니다. 



OpenGL mode : - vo
Nitrous mode : -vx 

   9 (-vx9): Nitrous in Direct3D 9 mode.
   11 (-vx11): Nitrous in Direct3D 11 mode.
   s (-vxs): Nitrous in Direct3D 11 mode with WARP.

Direct3D mode : -vd
Change Graphics Mode : -h

http://docs.autodesk.com/3DSMAX/16/ENU/3ds-Max-Help/index.html?url=files/GUID-8DD74086-FE75-4585-9BD3-ED22BEE4A39C.htm,topicNumber=d30e49649




2.지정 단위가 mm로 되어 있어도 m 단위로 입력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환산되어 입력이 됩니다.





3. ctrl  또는 alt 키와 같이 사용하면 스피드 조절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속성을 바꿀때 파라메터안에서 스피너를  alt 키와 같이 눌러주면서 조절하면  정밀한 수치 조절이 가능합니다.


4. 재질편집기에서 단축키" X " 를 누르면 샘플수를 늘리고 줄일 수 있습니다.





5.Shift-무비툴로 오브젝트를 클릭하면 제자리 복사가 되었는데 언젠부턴가 없어졌습니다. 정위치에서 clone 하고 싶다면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단축키 Ctrl+V 를 하면 됩니다.


서브오브젝트모드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메쉬 편집 Ctrl+D, 폴리 편집에서는 Detach  기능에 대해서 단축키를 지정 하여 clone 기능을 이용하면 제자리 복사가 가능합니다.




6.hold 기능은 임시로 장면을 저장합니다. 저장 위치는 프로젝트 폴더안의 autobak 폴더에 maxhold.mx 파일명으로 저장됩니다.





7. 맥스 사용 도중 크래시가 났을 경우 맥스파일을 살리기.

●Customize > Preference >Files 내의 Auto Backup 기능이 활성화가 되어 있으면  Autoback 폴더 안에서 자동 저장된 마지막 파일을 찾아보면 됩니다.


● 3ds Max에서는 예기치 않은 고장이 발생 했을 경우, 현재 메모리에 있는 파일의 복구 및 저장을 시도하는데 이러한 파일은 Autoback 폴더 안에 "<filename>_recover.max "로 저장됩니다. 이러한 기능은 작동 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내용이 손상되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8. perspective 뷰포트를 디폴트 상태로 되돌리기.

● 뷰를 이리저리 움직이면서 보았을 때, 전에 보았던 시점으로 되돌리고 싶을 경우에는 단축키 Shift+Z (view undo) 또는 Shift+Y(view redo) 를 눌러 주면 됩니다. 


● 최초의 시점을 Home으로 지정해준 후 집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해주면 된다.




●Views 메뉴>save Active Perspective View로 현시점을 저장한 후 Restore Active Perspective View 로 다시 불러 오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