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혹 내가 설정한 옵션들이 맥스를 새로 실행하게 되면 풀어지는 문제.
1. UAC(사용자 계정 컨트롤) 비활성
윈도우 7의 환경에서 관리자 모드나 권리자 권한이 없도록 원도우 설정에서 권한을 낮춘다. 관리자 권한 거부로 인해 설정이 저장되지 못한다.
(맥스를 설치한 사용자 계정이 한글명이나 숫자로만 되어 있는 경우 일부 메터리얼 기능이 안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폴더나 max파일등을 저장하는 경우에도 2바이트 문자 사용은 하지 않는다. - max파일을 못읽는 경우가 발생.)
- 위와 동일하지만 또다른 방법.
시작 >실행> secpol.msc > 로컬보안정책 – 로컬정책 – 보안옵션 – 사용자계정 컨트롤: '관리 승인 모드에서 모든 관리자 실행'
: '사용안함'으로 체크
참고:
'관리자(ADMNISTRATOR)권한으로 실행'시 플러그인이나 스크립트, 이미지 파일등을 외부로부터 드래그앤 드롭으로 맥스안에서 설치가 안되는 문제가 발생.
https://3dsmaxman.tistory.com/309
2. 폴더 또는 파일에 대한 전체 권한 부여
UAC 설정으로 인해서 맥스가 특정 폴더나 파일에 자동적으로 읽고, 쓰는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예를들어 단축키 지정했는데도 변함이 없을때, 플러그인 설치 문제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럴때 해당 디렉토리안에 폴더를 전체 권한 설정을 한다.
맥스 설치 루트와 'C:\Users\ [로그인 계정이름]' 의 폴더 속성 변경 '특정권한'만 빼고 허용에 다 체크한다.
그 외 참고:
https://support.microsoft.com/en-us/help/17228/windows-protect-my-pc-from-viruses#1TC=windows-7
3. 몇몇 설정들은 맥스가 종료될 때 자동적으로 3dsmax.ini 파일안에 설정들이 저장된다.
- 3dsmax.ini의 폴더 위치 ( F11을 누른 후 getMaxiniFile() 스크립트 명령을 이용하면 설치된 경로를 표시해줍니다.)
● xp : C:\Documents and Settings\(현재사용자계정)\Local Settings\Application Data\Autodesk\3dsmax\2008 t\enu ● 윈도우7, 비스타 : C:\Users\(현재사용자계정)\AppData\Local\Autodesk\3dsMax\2011 - 64bit\enu
- ' 3dsmax.ini ' 파일을 삭제하면 설정이 초기화 됩니다. (또는 ENU 폴더를 삭제 해주는 것으로 완전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
- 이 파일은 기본설정을 변경할뿐 아니라 3ds max의 시작 및 종료시에 업데이트 됩니다.
- 그래픽 드라이버,사운드및 이미지 같은 외부파일을 엑서스 하는데 사용되는 디렉토리, 사전 설정된 렌더크기, 대화상자의 위치,
스냅설정, 재질편집기 옵션 그 외 기본설정과 같은 프로그램의 기본 값에 대한 값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프로그램의 기본값은 \defaults 안에 currentdefaults.ini 설정되어 있습니다.
currentdefaults.ini (사용자설정)
:C:\Users\사용자계정\AppData\Local\Autodesk\3dsMax\맥스버젼- 64bit\ENU\en-US\defaults\
factorydefaults (원본)
: C:\Program Files\Autodesk\맥스버젼\en-US\defaults
4. 빈 장면에 원하는 설정을 한 후 maxstart.max 파일로 저장하고 프로그램을 다시 시작.
- 프로젝트 폴더안으로 경로가 지정되어 있으면 맥스를 시작하거나 Reset 하면 이 파일은 로드 됩니다.
- preference, Viewport Configuration, gamma/lut 설정, 뷰포트 레이아웃, 트랙뷰의 필터 설정, Time Configuration, Renderer,
Unit 등이 고정 됩니다.
- 맥스버젼을 여러개 설치하면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는 동일한 프로젝트 폴더안의 파일들로 인하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폴더는 맥스 프로그램마다 각각 다르게 지정해주어야 합니다.
* Template 와 maxstart.max 중 어느 것이 첫번째로 불러올까. (정확한 순서는 log 파일에 기록되어 있다.)
- 시작 장면 조건은 선택한 시작 템플릿에 의해 먼저 정의 된다.
- 시작 템플릿에 max 장면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 maxstart.max 파일이 있는 경우 maxstart.max 를 시작 장면으로 사용한다.
- 시작 템플릿에 max 장면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 maxstart.max 파일이 없는 경우 빈장면을 연다.
5. UI 관련 설정 저장
위치:
원본: C:\Program Files\Autodesk\3ds Max 버젼명\en-US\UI
사용자: C:\Users\[사용자계정]\AppData\Local\Autodesk\3dsMax\[맥스버젼]\ENU\en-US\UI
MaxStart 파일명 : 사용자화 파일 (자동 저장 또는 개인이 직접 저장하고 사용되는 파일)
DefaultUI 파일명 : 맥스의 기본 파일 (주의: DefaultUI 이름으로 저장하지 않도록 합니다.)
- UI 및 컬러등 사용자화 방법
'Preference > General 의 Save UI Configuration on Exit' 가 체크 되어 있으면, 현재 UI는 맥스 종료시 MaxStart 시작되는 이름에 덮어씁니다. 다음에 맥스 실행시마다 자동적으로 MaxStart 를 불러 오게 됩니다. 이 파일이 없는 경우 DefaultUI 파일이 사용됩니다.
또는 수동적으로 MaxStart 파일명으로 저장 또는 덮어쓰기를 하면 됩니다.
- 단축키
1. 'Save UI Configuration on Exit' 와 무관하다.
2. 시작은 MaxStart.kbdx와 무관하다. 최종 키보드 설정에서 Load와 save로 이용되었던 파일명이 사용되고 자동 저장된다.
3. 저장된 단축키 파일이 삭제된 경우 (또는 없는 경우) 초기화 파일인 DefaultUI.kbdx 파일을 불러온다.
4. 저장된 단축키 파일이 삭제된 경우(또는 없는 경우) 단축키를 설정하면,
저장은 기존에 사용되었던 파일명(3dsmax.ini에 기록이 남아 있음) 과 위치로 자동 저장된다.
5. 저장된 단축키 파일이 삭제된 경우(또는 없는 경우)와 3dsmax.ini 에 기록이 남아 있지 않은 경우,
DefaultUI.kbdx 파일을 불러오며 단축키를 설정하면 MaxStart .kbdx 파일명으로 자동 저장된다.
(위치: C:\Program Files\Autodesk\3ds Max 버젼명\en-US\UI )
6. Reset은 DefaultUI.kbdx 파일을 불러온다.
3dsmax.ini 파일을 열어보면 단축키 사용되었던 파일이 있는 위치와 파일명을 알 수 있다.
- UI 를 처음 설치때와 같은 기본값으로 복귀시키고 싶을때.
* Customize > Load Custom UI Scheme 에서 DefaultUI.ui 파일을 불러 옵니다.
* 개별적으로 초기화하고 싶다면 Customize > Customize User Interface 에서 각 해당하는 패널의 Load 를 통해 Default 라는 이름을 가진 파일을 불러오면 됩니다.
(DefaultUI 파일들을 실수로 삭제 했을 경우 아래 경로 파일을 복사해서 사용합니다.
원본 DefaultUI 파일 경로는 C:\Program Files\Autodesk\맥스버젼\en-US(영문사용경우)\UI )
- 단축키, 배경 컬러나 UI 설정을 한번에 저장할때. (3dsmax.ini 안의 [CuiConfiguration] 경로와 파일명도 바뀌게 됩니다.)
.kbdx: 키보드 바로 가기 할당을 저장합니다.
.musx 사용자 정의 마우스 설정을 저장합니다.
.cuix: 도구 모음(toolbar)과 패널 레이아웃을 저장합니다.
.mnux: 메뉴 모음(뷰포트 라벨 메뉴 포함)과 쿼드 메뉴 내용을 저장합니다.
.qop: 쿼드 메뉴 색상, 레이아웃 및 작업을 저장합니다.
.clrx: 모든 색상 설정을 저장합니다(쿼드 메뉴 색상 제외).
.ui: 아이콘 구성표를 저장합니다(클래식 또는 2D 흑백).
맥스를 실행하게 되면 첫번째로 3dsmax.ini 설정 내용이 로드 되고, 그 다음 maxstart.max가 저장되어 있으면 이것을 자동적으로 파일을 open 되는 구조 같습니다.
결국 역으로 맥스 처음이었던 ui와 설정들을 초기화 하려면 3dsmax.ini와 maxstart.max 파일을 삭제하면 됩니다. 이 외에도 medit.mat 파일은 material library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등 많은 요소들이 있다고 하는데, 3dsmax.ini와 maxstart.max 파일은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6. 그 외
추가:
대부분 사용자 폴더안에서 참고합니다.
C:\Users\(현재사용자계정)\AppData\Local\Autodesk\3dsMax\(맥스버젼)\enu
(ENU 폴더를 삭제 해주는 것으로 완전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
원본 파일이 있는 맥스설치 루트 폴더안의 ₩factorydefaults 디렉토리의 파일은 편집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maxstart.cui : 기본 사용자 정의 인터페이스 파일 (UI 관련)
Plugin.ini (Plugin.UserSettings.ini) : 플러그인의 디렉토리 경로 정보입니다.
startup.ms : 시작 스크립트(\startup 디렉토리) 파일을 검색하고 파일이 있으면 자동적으로 불러와 실행합니다.
(customize>maxscript 탭> load startup scripts를 체크해지로 불러오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medit.mat : 시작시 재질편집기의 기본 재질 라이브러리입니다.
currentdefaults.ini : 각 하위 디렉토리에 있는 global parameter의 기본값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mxp 파일 : 프로젝트 폴더안에 저장되며 Configure User Paths의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unwrapuvw.ini : Unwrap UVW의 Edit UVWs 내용들이 저장 (..\plugcfg_ln 또는 ..\plugcfg 폴더안 )
Trackview.ini : 트랙뷰의 레이아웃 복원시 '맥스설치루트\en-US\plugcfg 복사' 해서 '사용자계정\...\en-US\plugcfg 폴더안에 넣기'
InstallSettings.ini : 맥스 루트안의 해당 파일 ini 내용을 ' useUserProfiles = 0 '으로 고치면
계정 로그인의 개별 사용자 설정 폴더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RecentDocuments.xml : 파일열기에서 나타나는 최근에 열었던 파일 목록이 담겨져 있습니다.
defaultmmaterialexplorer.ini : Material Explorer 레이아웃 (..\enu\plugcfg\explorerconfig\material explorer\ )
*.mpl : Material/map Browser Layout 파일
(Material/Map Browser Options menu >Additional Options > Load Layout or Save Layout As )
Material/map Browser Layout 은 Reset Material/Map Browser 옵션으로 초기화 할 수 있다.
docking.cfg : 슬레이트 재질 편집기 레이아웃이 저장된 파일 , 삭제하면 초기화 된다.
(\ users \ <사용자 이름> \ appdata \ local \ autodesk \ 3dsmax \ 맥스버전 \ enu \ sme \)
*.syncfg : 'File>Send to ...' 와 관련하여 연결할 프로그램 표시.
이 옵션이 회색표시일때는 해당 관련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버젼이 맞지 않아 발생된다. 메모장으로 열어서 수정이 가능하다.
(C:\ProgramData\Autodesk\Synergy)
DefaultParameters.ini : 3ds max 2024.1 이상의 새기능인 파라미터가 '새 기본값으로 설정 (Set as New Default)' 이 저장되는 곳 ( C:\Users\<사용자 이름>\Autodesk\ 맥스버전\User Settings)
-----------------------------------------------------------------------------------------------------------------------
* 3ds max 2016 부터 추가된 classic 과 design 화면을 보고 싶다면.
바탕화면 3ds max 아이콘의 속성 > 바로가기 >대상(T) 에 다음 문자 중 선택 추가
-df : 디스플레이 선택 화면 보기
-dfc : 클래식모드로 시작하기
-dfd : 디자인모드로 시작하기
예) "C:\Program Files\Autodesk\3ds Max 2016\3dsmax.exe" -df
또다른 방법은
C:\Users\(현재사용자계정)\AppData\Local\Autodesk\3dsMax\2016 - 64bit\enu 폴더 삭제 또는 이름 변경
*Backburner 초기화
C : \ Users \ <사용자 이름> \ AppData \ Local \ Backburner 폴더 삭제.
-------------------------------------------------------------------------------------------------------------]
* 2020 이후 단축키 설정
http://blog.daum.net/3dsmaxman/432
앞으로 사용자 설정의 위치가 차츰 변경될 것이라 한다. 첫번째 시도가 핫키이며
Customize> Configure User and System Paths > User and System 에서 User Settings 의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이곳은 키보드 단축키에서 Save as 로 실행 했을때 열리는 위치가 된다. 수정된 사용자 단축키는 여기에 저장하면 된다.
(기본 경로 C:\Users\<사용자 이름>\Autodesk\ 맥스버전\User Settings )
* UI 설정이 고정이 안될때.
http://blog.daum.net/3dsmaxman/460
----------------------------------------------------------------------------------------------------------------]
* 3ds max 2022.1 버젼부터는 초기화 버튼(Restore Factory Settings)이 새로 생김
File > Preferences > General tab
- Go to Settings Folder : 사용자 기본 설정 파일이 있는곳으로 이동
- Restore Factory Settings : 3ds Max 기본값으로 다시 시작하려면 이 옵션을 선택
주의: ENU 폴더는 맥스를 닫고 편집 하는 것이 좋다.
* 기본 매개변수를 사용자 정의로 바꿀 수 있는 스크립트 (3ds max 2021.1 이상)
'3DsMax >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s max의 자잘한 팁들 -01 (0) | 2012.05.10 |
---|---|
바로가기 아이콘, 여러 버젼에서 3ds max 파일을 연결 실행하기 (0) | 2012.05.10 |
Light control (0) | 2012.05.10 |
명령패널 공간 활용하기 (0) | 2012.05.10 |
Nitrous 드라이버에서 뷰포트 텍스쳐 해상도 관련 (0) | 2012.05.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