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트랙표시기에서 원하는 키만 보고 싶을때
오브젝트에 이동이나 회전 ,스케일 애니메이션을 적용하다보면 키가 중복되어 선택하기가 곤란하거나 작업이 불편할때가 있다.
트랙표시기에서 마우스 오른클릭 한후 'filter> current transform' 에 체크를 하고
transform 중 해당 아이콘만 클릭하면 그에 대한 키만 볼 수 있다.
2. 3ds max Timeline 단축키
타임라인의 프레임 시간을 time configuration 설정 없이 바로 단축키로 셋팅이 가능합니다.
Ctrl+Alt+LMB - 마지막 프레임은 고정하고 시작 프레임을 늘리거나 줄일때.
Ctrl+Alt+RMB - 시작프레임은 고정하고 마지막 프레임을 늘리거나 줄일때
Ctrl+Alt+MMB - 전체 프레임을 이동 할때.
3. Keys의 영역범위를 편집하고자 할때.
해당 오브젝트를 선택한 후 범위를 편집하고 싶은 키 두개 이상 선택하면 된다.
4. 스크립트
movekeys $ 프레임수
선택된 오브젝트의 키를 입력된 프레임수만큼 이동시킴
deletekeys $
선택된 오브젝트의 모든 키를 삭제.
5. 스피너 ( Spinners )
스피너 화살표에 shift + 마우스 오른 클릭하면 키 입력. (Auto key를 활성화하고 스피너를 조작하여 키를 생성하는 것과 같은 효과)
스피너 화살표에 Alt+ 마우스 오른 클릭하면 키 지움.
스피너 화살표에 shift+Ctrl+ 마우스 오른 클릭하면 그 스피너에 해당하는 모든 키 지움.
참고:
다중 키 프레임 반전 시키기
http://blog.daum.net/3dsmaxman/45
'3DsMax >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브젝트 단위 스케일 (0) | 2012.05.09 |
---|---|
material/map 브라우저를 2010 이전 형식으로 바꾸기 (0) | 2012.05.09 |
3ds max 에서 메모,계산기를 사용하자. (0) | 2012.05.09 |
Nitrous모드의 NPR Settings 스크립트 (0) | 2012.05.09 |
다중 선택 키프레임을 반전하기 (0) | 2012.05.09 |
댓글